실신과 발작, 탈수와 두통
실신과 발작, 탈수와 두통
1. 실신과 발작의 차이
1) 실신에서 볼 수 있는 증상들
쓰러질 때 축 쳐지거나 급격하게 발생
약 80%에서 경련이 발생할 수 있고, 보통 30초이내 사라지며, 불규칙적이다.
눈은 떠있는 경우가 많고 일시적으로 위쪽 방향이나 측면을 바라보는 경우가 있다.
실신의 마지막 시기에 보통 환각을 느낄 수 있다.
소량의 소변이 나올 수도 있으며, 혀를 깨무는 경우는 드물다.
30초 이내 postical confusion 어지럼증이나 정신없어하는 증상이 있다.
2) 발작에서 나타나는 증상들
유발인자를 찾기 힘들고, 1~2분 정도 전신적이고 비교적 규칙적인 발작이 보인다.
눈은 보통 한쪽방향으로 계속 쳐다본다.
발작시 환각을 느낄 수 있고, 소변이 나올 수 있고, 혀를 깨무는 경우는 비교적 흔하다.
https://bandopa119.tistory.com/m/7
2. 탈수의 진단
> Mental status, Thirst, Heart rate, Quility of Pulses, Breathing, Eyes, Tears
Mouth and tongue, Skin fold, Capillary refill, Extremities.
탈수를 가늠해볼 수 있는 사항들은 여러가지이다.
의식수준이나 갈증을 느끼는지, 심박수의 변화와 맥박의 강약(빠르고 약함) 호흡이나 피부, 눈, 입주변과 혀 정도를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다.
1) 환자에게 질문할 때, 먼저 이름을 묻는다.
- 혼돈, 횡설수설 하는지 혹은 졸려하는 지 등 의식수준 평과와 함께 뇌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2) 피부상태가 얼룩덜룩한지 육안으로 보면서 말초순환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3) 목정맥이 보이는지를 보면서 혈류량 판단가능.
4) 목동맥과 요골동맥 촉지해본다. 수축기 혈압을 파악할 수 있다. ( 60/ 80 mmHg)
5) 결막상태를 확인한다. 눈동자의 흰자, 충혈 정도등을 보면서 혈류량을 예측.
6) 모세혈관재출혈도 좋은 방법이다. 혈류량을 가장 빠르게 확인할 수 있다.
7) "메롱" 혀를 내밀어 탈수 상태, Dry toungue 을 확인한다.
> 자세한 내용은 지난 포스팅을 한번 더 확인하면 좋겠다.
밴드 내용 참고
'Paramedic' 밴드
https://band.us/n/aca839z2D46cY
밴드명을 검색해 가입할 수 있습니다.
ㅁ 두통
- 처음으로 가장 심한 두통
- 의식저하 / 의식 혼탁
- 신경학적 검사에서 이상 소견
- 50세 이상에서 추가적인 두통호소
- 진통제 복용에도 지속되는 통증호소
- 경부 강직, 구토와 발열 등을 동반하는 증상.
일반적으로 어디가 아프세요? 머리요~~! 그럼 그냥 두통이라고만 판단한다.
무엇을 물어봐야할지... 고민되면 아래의 질문을 물어봐라.
1. 언제부터 아팠나요? (통증시간 파악)
2. 이런 통증이 처음인가요?
3. 뭐하던 중에 아프셨나요?
4. 갑자기 아팠나요? 평소에 편두통이 있으신가요?
5. 어지러운 증상이 있는지 물어본다.
1) 어디가 아픈지 촉진해보는 것도 때론 중요할 수 있다.
목뒤 근육강직과 안면근육에 의한 통증이 원인일 수 있다. semispinalis capitis, splenius capitis, levator scapulae, trapezius 등.
두피, 얼굴, 목의 근육등이 긴장성 두통을 야기시킬 수 있다.
2) 대부분의 두통은 스트레스, 피로, 수면부족이 원인이 될 수 있지만 SAH의 두통에서 뇌실질이 아닌 뇌막이 파열되며 갑작스런 두통, 구토, 의식저하, 뇌막자극증상 등이 올 수 있다.
ㅇ Intracerebral Hemorrhage, ICH
활동 중 두통이 심하고, 빠른 편마비, 수분내 다른 현상
고혈압, 심장비대된 경우가 많다. 뇌척수액은 clear 하지 않다.
ㅇ Vascular Malformation, Intracranial Bleeding.
초기에 가장 위험하고 반복적인 지주막하 출혈이나 뇌전증 등의 병력이 있을 수 있다.
의식이 혼미한 경우가 많고, 혈압은 정상인 경우가 많으므로 유의해야 한다.
ㅇ Cerebral Thrombosis, CT
현기증과 실어증의 증상이 보일 수 있기 수분내에 단계적으로 증상이 나타난다.
동맥경화증이나 관상동맥 질환, 당뇨 등의 병력이 있을 수 있고 고혈압에서 많이 나타나며, 뇌혈관이 좁아진 경우가 원인이 될 수 있다.
ㅇ Cerebral Embolism, CM
뇌의 심한 병변의 병력이 있을 수 있고, 의식이 혼미하며, 심장부정맥이나 심근경색과 연관있을 수 있다. 뇌혈관 폐쇄가 안되도록 주의해야 하며, 뇌척수액은 Clear
갑작스런 출혈이 두통을 야기시킬 수 있고, 구토나 의식저하 여부도 파악한다.
물론 외상의 경우, 뇌출혈에 대한 가능성을 증상을 보고 빠르게 파악해야 한다.
뇌수막염의 경우 두통과 발열이 서서히 오고, 구토와 오심등의 증상도 같이 온다.
머리를 흔들면 어지럽고 아프다. 고개를 숙일 경우 뇌압이 증가되어 아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