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응급구조사가 알아야할 수액처치

by EMT7 2020. 5. 6.

응급구조사가 알아야할 수액(Fluid)처치


환자에게 필요한 수액요법은 Maintenance, Replcacement 두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사실, 수액요법을 이해하기 전에 체액 조성에 대한 이해도 필요하다.


1) Maintenance fluid
환자가 정상적인 상태에서 하루 동아 필요한 수액으로 소변, 대변, 땀, 호흡 등을 통해 빠져나가는 수분의 양을 고려해서 주게 된다. 보통 D5W 2L에 각종 전해질을 필요한 만큼 추가해서 주게 되는데, 용액을 2L 주면 된다.
2) Replacement fluid
환자의 질병이나 각종 배액, third space loss로 인한 전해질 불균형을 교정하는 것이 주목적이기 때문에 개별화된 수액요법이 필요하다.
HCl과 K의 소실이 많기 때문에 D5W+NaCl+KCl
십이지장과 이자액 배액 시에는 중탄산염 소실이
많기 때문에 H/S(Hartmann's solution) + NaHCO3
대장에서 배액을 하는 경우에는 H/S+KCl을 준다
> 뭔가 Loss가 일어나고 있다면 어떻게 보충할지 replacement에 대한 개념
1. Body fluid compartment
Total body fluid : 체중의 60%
ICF 체중의 40%
ECF 체중의 20%(blood 체중의 5%)
(interstitial fluid 15%)
1) 체액의 구성
땀 (Na+ 50 / Cl- 40 / K+ 5 / HCO3 0)
침 (Na+ 60 / Cl- 15 / K+ 26 / HCO3 50)
위액 (Na+ 60~100/ Cl- 100 / K+ 10/HCO3 0)
담즙 (Na+ 145 / Cl- 100 / K+ 5 / HCO3 15)
췌장액 (Na+ 140 / Cl- 75 / K+ 5 / HCO3 115)
설사 (Na+ 120 / Cl- 90 / K+ 25 / HCO3 45)
체액 소실 시 체액의 조성에 따라 상황이 바뀌고 보충해야할 수액의 조성도 달라진다.


2. 정맥투여용 수액은 두 가지로 구분된다.
정질(crystalloid), 교질(colloid)
1) 정질용액
혈관과 같은 생체막을 쉽게 투과한다. 혈관 외 공간으로 자유롭게 확산될 작은 분자들로 이루어졌다. 나트륨은 세포외에 함유된 용질이다.
종류_ Hartmann's solution, 0.9% NaCl
3% NaCl, 5% D/W, 10% D/W etc.
2) 교질용액
혈관과 같은 생체막을 쉽게 투과하지 못한다.
분자량이 커서 혈관 내에 남을 수 있는 수액
순간적인혈관 볼륨확장에 사용.
종류_ Albumin, Dextran, Hextend, Volulyte
Hydroxyethyl tarch(hetastarch)
3. Fluid electrolyte content(mEq/L)
1) 결정질용액(Crystalloid solution)
(1)링거젖산용액(Ringer's lactate solution,RL)
=하트만용액(Hartmann's solution)
- K+ 이 똑같이 들어있고, 생리적이다.
- 대량투여해도 체액의 구성과 pH에 영향이 적다
- 등장성(isotonic) --> volume 교정에 이용
- 대사성 알칼리증(metebolic alkalosis) 초래
(대사성 알칼리증 시 금기)
- 링거젖산용액의 Ca2+ 과 blood 반응, clot형성
(2) 0.9% 식염수(0.9% saline, 0.9% NaCl,
normal saline, isotonic saline, N/S)
(3) 0.45% 식염수 + 5% 포도당액(5% dextrose in water, D5W)
불감성 수분 손실(insensible water loss)의 보충 또는 Na+의 신상 배설 시 Na+ 보충 위해 사용
(4) 3% NaCl : symptomatic hypoNa+
2) 콜로이드용액(Colloid solutions)
albumin, hydroxyethyl starch, dextran volume expander로 쓰임
혈장량 증대효과(plasma volume expander)
blood > colloid > crystalloid > 5% dextrose


4. 같은 양을 투여할 때 혈장량 증가 효과가 가장 큰 것
1) 알부민
colloid solution으로 혈관 내에만 머문다.
실제 효과는 1L
2) 0.9% N/S
ECF에만 머물며 혈관내 체액량(IV)는 ECF의 1/4을 차지하므로 실제 혈장량 증가 효과는 250mL.
(혈장량 증대 효과가 커서 응급상황에 많이 사용)
3) Ringer's lactate solution
0.9% N/S, K, Ca, HCO3의 조성만 다를 뿐 다른 조성을 동일하다. 실제 혈장량 증가효과는 약 250mL으로 0.9% N/S와 동일하다. (보충 수액으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용액)
4) 0.45% N/S
1L of 0.45% N/S = 500mL of 0.9% N/S + 500mL of water
수분은 ECF, ICF 모두 분포학 N/S는 ECF에만 분포하므로 혈관 내(IV)에만 머물게 되는 수액의 양은 약 167mL
5) 5% 포도당액
ECF, ICF 모두 분포, 실제 혈장량 증가효과는 약 83mL
* 출혈, 설사, 췌장염, 화상, 수술 등의 환자에게 5% 포도당을 정맥 주사하면 저나트륨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